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Promise
- 웹 성능
- 동적 웹 페이지
- 웹 개발
- fe
- 패키지 스크립트
- React
- 비동기프로그래밍
- 풀스택 개발
- tanStack Query
- 자바스크립트공부
- 프라미스체이닝
- JavaScript
- 국제화(i18n)
- 리액트 기초
- 웹개발
- 프론트엔드
- 자바스크립트
- #프론트엔드개발
- 비동기 요청 처리
- 컴포넌트
- jsx
- html
- 웹 성능 최적화
- css
- 퍼포먼스 최적화
- 코드리뷰
-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
- dom
- Node.js
Archives
- Today
- Total
sodol-dotcom
React에서 객체 전달을 위한 중괄호 사용법 이해하기 본문
React JSX에서 UI 구성할 때, 객체 전달 시 중괄호를 겹쳐서 두 번 사용하게 된다.
1. 첫 번째 중괄호 `{}`
JSX에서 React 요소의 속성을 설정할 때, JavaScript 표현식을 사용하기 위한 중괄호이다.
return <div>{...}</div>; // 첫 번째 중괄호
2. 두 번째 중괄호 `{}`
첫 번째 중괄호 안에 JavaScript 객체를 정의할 때 두 번째 중괄호를 사용한다. 이 경우, 실제 객체의 속성-값 쌍을 정의하는 역할을 한다.
즉, 중괄호가 겹쳐서 `{{}}` 형태로 사용하게 된다.
const Main = () => {
const user = {
이름: "이정환",
isLogin: false,
};
const userDetails = {
age: 25,
city: "서울",
};
// 객체를 JSX 요소에 전달할 때
return (
<div>
<div>{user.이름}</div>
<div>{ { age: userDetails.age, city: userDetails.city } }</div> {/* 중괄호 겹쳐쓰기 */}
</div>
);
};
16번째 줄에서 첫번째 중괄호는 JSX의 표현식을 나타내고, 두 번째 중괄호는 실제 객체를 정의하는 것이다.
3. 이해하기
- JSX에서 객체 전달: React의 JSX에서는 첫 번째 중괄호로 JavaScript 표현식을 사용하기 위해 쓰고, 두 번째 중괄호를 사용해 객체를 전달(정의)한다. 이 구조는 스타일 속성뿐만 아니라, 다양한 객체를 전달할 때도 동일하게 적용된다.
'Frameworks & Libraries > Reac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React 컴포넌트에서 props의 기본값을 설정하는 방법: defaultProps (0) | 2024.10.04 |
---|---|
Props 전달 과정(부모 컴포넌트에서 자식 컴포넌트로 데이터 전달하기) (1) | 2024.10.04 |
React에서 자식 컴포넌트가 props를 매개변수로 받는 이유 (0) | 2024.10.04 |
리액트에서 HTML을 자바스크립트처럼 쓰는 법: JSX 이해하기 (1) | 2024.10.04 |
Outlet 컴포넌트 (0) | 2024.09.12 |